깊어가는 가을의 정취를 만끽할 수 있는 다채로운 공연무대가 펼쳐진다. 한국콘텐츠진흥원은 오는 11월 14일부터 15일까지 서울 마포구 무신사 개러지에서 ‘2025 우리 음악인 축제 로컬 레이블 콘서트’를 개최한다. 마포문화재단은 오는 11월 21일 마포아트센터 아트홀맥에서 M 기획시리즈 ‘2025 재즈 올스타즈’를 개최한다.
‘2025 우리 음악인 축제 로컬 레이블 콘서트’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콘텐츠진흥원은 오는 11월 14일부터 15일까지 서울 마포구 무신사 개러지에서 지역 기반 음악인의 교류와 창작활동을 지원하기 위한 ‘2025 우리 음악인 축제 로컬 레이블 콘서트’를 개최한다.
‘우리 음악인 축제’는 지난 2022년부터 전국 17개 지역에 조성된 음악창작소의 지원을 받은 지역 음악인들의 성장과 교류를 촉진하기 위해 마련된 프로그램이다. 오는 11월 14일과 15일 양일간 로컬 레이블 프로젝트의 대미를 장식할 연합 공연이 서울 마포구 무신사 개러지에서 열린다.
이번 공연은 인디음악 30주년을 기념해 지역 음악인들이 홍대에 모여, K-인디음악의 흐름을 함께 만들어가는 상징적 무대로 기획됐다. 공연장에서는 참여 음악인의 앨범과 굿즈, 뮤직비디오 영상이 전시되며, 관객이 아티스트에게 직접 메시지를 남길 수 있는 현장 참여형 이벤트도 함께 진행될 예정이다.
1회차 14일 공연은 △밴드 그린(경북음악창작소) △밴드 디폴트(인천음악창작소) △나린(대전음악창작소) △사운드힐즈(강원음악창작소)를 포함해 로컬 레이블의 프로듀서로 참여한 신유미가 함께 무대를 선보인다.
2회차 15일 공연은 △모꼬지(세종음악창작소) △레슬리(광주음악창작소) △모커(대구음악창작소) △바비핀스(충남음악창작소) 등과 로컬 레이블의 대표를 맡은 한해의 무대로 로컬 레이블 콘서트가 마무리될 예정이다.
지난 7월 말, 전국에서 모인 지역 음악인 8팀이 ‘로컬 레이블’ 결성을 위해 서울 홍릉 콘텐츠문화광장에서 첫 만남을 가졌다. 당시 현장을 담은 영상을 시작으로, 음악 예능형 프로그램 우리 음악인 축제 ‘로컬 레이블’은 지난 10월 15일부터 유튜브 채널 ‘더 케이팝’을 통해 8개의 콘텐츠를 순차적으로 공개하고 있다.
로컬 레이블 콘서트의 입장권은 ‘NOL티켓’을 통해 예매할 수 있으며, 공연 영상은 추후 유튜브 더 케이팝 공식 채널을 통해 온라인으로 공개될 예정이다.
재즈의 명품 선율로 물드는 가을 밤! ‘2025 재즈 올스타즈’
‘2025 재즈 올스타즈’ 포스터. 이미지 마포문화재단.
마포문화재단은 오는 11월 21일 마포아트센터 아트홀맥에서 M 기획시리즈 ‘2025 재즈 올스타즈’를 개최한다. 이번 공연은 국내 재즈의 발전을 이끈 세대별 대표 뮤지션이 한자리에 모이는 ’대한민국 재즈의 명품 총결산‘ 무대이다.
재즈 불모지였던 한국에 재즈 씬을 개척한 1세대인 ‘한국 재즈의 살아있는 전설’ 보컬리스트 김준과 ‘프리재즈의 대가’ 최선배(트럼펫), 그리고 ‘반세기 드럼 외길’을 걸어온 김희현이 한국 재즈의 깊이를 선보인다.
여기에 ‘객석을 휘어잡는 압도적 카리스마’의 보컬리스트 웅산과 ‘한국 재즈의 중흥기를 이끈’ 색소포니스트 이정식, 탱고와 재즈를 넘나드는 아코디어니스트 정태호가 2세대의 원숙함을 더한다. 마지막으로 노래와 피아노를 자유롭게 넘나드는 마리아킴, 줄리어드 출신의 엘리트 피아니스트 강재훈, 재즈씬의 주목받는 드러머 신동진이 3세대로 나서 현대적 감각으로 무대를 완성한다. 각 세대의 뮤지션들이 한 무대에서 교감하며 만드는 협연은 한국재즈의 역사를 느끼고, 미래의 재즈를 상상하게 하는 특별한 순간을 선사할 예정이다.
공연은 클래식 스탠다드, 스윙, 비밥 등 전통 재즈의 매력부터 한국적 선율이 어우러진 곡까지 다채롭게 구성된다. 또한 스페셜 게스트로 대금연주가 한충은이 참여해 대금의 선율과 재즈의 블루노트가 만나는 독창적인 한국 재즈의 선율을 들려준다.
마포아트센터 기획시리즈 ‘2025 재즈 올스타즈’는 OP석 8만원, R석 7만원, S석 5만원으로 가을(갈색, 베이지, 오렌지 등)을 느낄 수 있는 색상의 의상이나 액세서리를 착용시 드레스코드 15% 할인혜택을 받을 수 있다.
설성현 기자 cosmos1234@naver.com
출처 : K스피릿(http://www.ikoreanspirit.com)


